ITQ 한글 문서 세팅 ❶ - 편집 용지 설정과 페이지 나누기

등록일 : 2025.11.03 (10:54)  / 조회 : 69
ITQ의 모든 시험이 그렇듯이 아래한글도 문서 세팅부터 시작합니다.
한글의 경우 시험이 어렵다기보다는 타이핑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시험 시간은 1시간이고, 그 안에 문서를 모두 작성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타이핑 연습을 해 두는 것도 필요합니다. 최소 분당 130타 이상은 필수 조건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타이핑할 시간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겠죠. 시험 시 유의사항과 작성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있으면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험 시 유의사항 및 답안 작성 요령

시험지의 첫 장에 수험자 유의사항과 답안 작성요령이 위와 같이 나옵니다.
대부분 동일했기 때문에 미리 숙지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시험 시에는 숙지한 내용과 달라진 점만 체크하시면서 진행하시면 좀 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험 시작 전에 시험관이 "KOAS 수험자용"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답안을 전송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어렵지 않으니 잘 듣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래도 불안하신 분들을 위해 KOAS 프로그램 사용법도 나중에 한 번 설명하겠습니다.

주요 내용은 초록색 부분입니다. 가능한 순서대로 빠지지 않게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하면,
  1. "내 PC > 문서 > ITQ" 폴더에 "수험번호-성명.hwp"(예:12345678-홍길동.hwp)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주의! 한글 2022의 경우 기본 파일 형식은 hwpx이기 때문에 파일 형식을 반드시 확인하여 hwp로 저장해야 합니다.)
  2. 글꼴 설정 "함초롬바탕, 10pt, 검정, 줄간격 160%, 양쪽정렬"
  3. 여백 설정 "왼쪽·오른쪽 11㎜, 위쪽·아래쪽·머리말·꼬리말 10㎜, 제본 0㎜"
  4. 페이지별로 문제 번호 표시(번호만)
    - 1페이지 - 1., 2.
    - 2페이지 - 3., 4.
이렇게 됩니다. 순서대로 진행하겠습니다.





1. "내 PC > 문서 > ITQ" 폴더에 "수험번호-성명.hwp"로 저장

파일 저장
  1. "파일" 메뉴에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합니다. =>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2. "내 PC > 문서 > ITQ" 폴더를 찾아 들어갑니다.
  3. 파일 형식을 클릭하고 "한글 표준 문서 (*.hwpx)"에서 "한글 문서(*.hwp)"로 변경합니다.
  4. 파일 이름란에 "수험번호-성명"으로 입력합니다.
  5. 최종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2. 글꼴 설정 "함초롬바탕, 10pt, 검정, 줄간격 160%, 양쪽정렬"

문서의 기본 글꼴 설정은 한글의 기본 세팅이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혹시라도 세팅이 변경되어 있을 수 있으니 확인하는 단계는 거쳐 주시길 바랍니다. 
서식 도구 상자에서 모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글자 색은 정확하게 "검정"으로 선택하시는 편이 확실할 것 같습니다.

글꼴 설정
  1. 글꼴을 확인하고 다르다면 "함초롱바탕"으로 선택합니다.
  2. 글자 크기를 확인하고 다르다면 역시 변경합니다.
  3. 글자 색은 화살표 버튼을 누르고 "검정"을 클릭합니다. 기본 검정이지만 확실하게 선택해 줍니다.
  4. 정렬도 확인하고 다르다면 "양쪽 정렬"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5. 줄 간격도 기본 160%입니다. 확인하고 역시 다르다면 160을 입력합니다.
기본적으로 마우스로 각 버튼에 위치시킨 후 잠깐 기다리면 버튼의 명칭이 말풍선으로 나옵니다. 색상도 각 색상에 마우스를 이동한 후 잠깐 기다리면 색상 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검정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명칭을 확인하고 "검정"으로 선택해 주세요.





3. 여백 설정 "왼쪽·오른쪽 11㎜, 위쪽·아래쪽·머리말·꼬리말 10㎜, 제본 0㎜"

여백 설정
  1. "파일 > 편집 용지"를 클릭합니다. => 편집 용지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2. 용지 여백을 문제지 조건대로 설정합니다.
    이때 위쪽부터 수치를 입력하신 뒤 탭키를 눌러 선택하면 마우스를 따로 클릭하지 않아도 다음 작성란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빠르게 수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문서 여백이 바뀝니다.


4. 페이지별로 문제 번호 표시

다음 문제 번호를 미리 입력할 차례입니다. 그런데 문서 작성 시 줄 바꿈을 할 경우, 기본 설정대로 진행하면 1줄 바꿈을 했는지 2줄 바꿈을 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줄 간격이 큰 경우 혼동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확하게 줄 바꿈을 확인하면서 작업하기 위해 한 가지 세팅을 해 주면 훨씬 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단 부호

그림처럼 "보기" 메뉴에서 문단 부호를 클릭합니다. => 커서 뒤로 문단 부호 아이콘 모양이 확인됩니다.
이제 이 모양을 보면서 줄 바꿈이 몇 줄씩 됐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1쪽2쪽
  1. 1페이지에서 좌측 그림처럼 문제 번호와 enter를 입력하여 줄 바꿈하고 마지막 위치에서 ctrl+enter를 눌러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이 기능은 작성 중인 페이지에서 더 이상 작성할 내용이 없을 때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기능으로 "쪽 나누기"라 합니다. "쪽" 메뉴에서 "쪽 나누기" 버튼을 클릭해서 할 수도 있지만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니 단축키로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2. 2페이지서 커서가 깜박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우측 그림처럼 문제 번호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줄 바꿈 처리합니다.
이렇게 문단을 설정한 이유는, 각 문제의 첫 번째 문단은 문제 번호로, 두 번째 문단은 답안을 작성할 부분으로, 세 번째 문단은 다음 문제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4번 문제까지 번호 세팅을 하였습니다. 다음, 3페이지도 만들어야 하지만 3페이지는 쪽 나누기(ctrl+enter)로 진행하시면 안 됩니다. 
이 부분은 다음 강좌에서 왜 그런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번 강좌는 여기서 마칩니다.


첨부파일

한글(A형)_문제지.pdf

(727.9 Kb)save_alt
첨부파일

12345678-홍길동.hwp

(12.5 Kb)save_al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다음글

윤슬로

482025.11.05
이전글

윤슬로

342025.11.01
코멘트 의견글 입니다. ()

굵게 밑줄 기울임 취소선 글자색 배경색 윗첨자 아래첨자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 양쪽 정렬

배경색 윗첨자 아래첨자 밑줄 기울임 취소선

url og table

html

줄이기 늘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