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강좌에 이어 조건부 서식의 데이터 막대 사용법을 조금 더 설명하려 합니다. 데이터에 음수 값이 있는 경우의 설정과 막대만 표현하는 방법에 관한 얘기입니다. 지난 강좌와 이어지는 얘기이니, 이 글로 바로 들어오신 분들은 이전 강좌를 확인하고 돌아와 주세요.
예제는 지난 강좌에서 적용한 데이터 막대의 결과입니다. 잘 적용되었지만, 살짝 아쉬운 것은 데이터 막대와 셀 값이 같이 나온다는 것이죠. 이 경우 만약 데이터 막대의 색을 검은색으로 하게 되면 셀 값의 일부는 보이지 않게 됩니다. 검은색이 아니더라도 데이터 막대 색을 어두운 계열로 사용하면 값이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되죠.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매출 이익을 값 따로, 막대 따로 나오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런데 매출 이익은 실매출과는 다르게 음수 값도 존재합니다. 시작 기준이 달라지겠죠. 일단 유념하시고 진행해 주세요.
먼저 진행해야 하는 것은 데이터 막대를 표시할 공간(열)을 추가로 만들어야 합니다. 열 머리글에서 G열을 우클릭하고 삽입을 눌러 매출 이익 우측으로 하나의 열을 더 추가합니다.
열 추가가 어려우신 분들은 아래 강좌를 참고해 주세요.
추가한 열의 각 셀에도 값은 있어야 합니다. 값이 있어야 데이터 막대를 만들 수 있으니까요. 매출 이익 값을 참조해 옵니다.
- 데이터 막대를 시작할 셀(G5)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 수식 입력줄에서 수식(=)을 시작하고 매출 이익 첫 셀을 참조하고 엔터를 눌러 G5셀을 완성합니다.
- 다시 G5셀을 클릭하여 선택하고 우측 하단에서 클릭 드래그하여 G14셀까지 자동 채우기 합니다.
완성된 G5:G14 범위에 데이터 막대를 적용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이전까지는 일단 조건부 서식을 적용하고 규칙 편집을 통해 옵션들을 조정했습니다. 하지만 꼭 그렇게 진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먼저 옵션을 선택하고 조건부 서식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상세 설정을 미리 하면 다시 규칙 편집으로 들어가는 수고를 덜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막대를 적용할 범위(G5:G14)까지 클릭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 조건부 서식 > 데이터 막대 > 기타 규칙을 클릭합니다. => 새 서식 규칙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조건부 서식을 적용한 뒤 규칙 관리를 클릭했을 때 나오는 창과 동일한 녀석입니다. 기타 규칙을 클릭하면 이렇게 옵션을 먼저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막대만 표시를 클릭합니다. (값을 표시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일단 설정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하지만 그림의 파란색 부분을 확인해 주세요. "음수 값 및 축"이라는 것이 보입니다. 음수의 설정도 할 수 있다는 것이겠죠. - 최종, 확인 버튼을 클릭하고 선택 범위에 데이터 막대를 적용합니다.
결과, 셀 값은 사라지고 데이터 막대만 표시됩니다. 하지만 음수가 있기 때문에 막대가 이전과는 좀 다르게 나타납니다.
데이터 막대 좌측 기준의 기본 설정은 "0"입니다. 우측 기준은 최대값이 되었죠. 하지만 지금처럼 음수가 존재할 경우 좌측 기준은 최소값이 됩니다. "0"이라면 음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겠죠. 그리고 하나 더 알아야 할 것이 있는데 바로 축입니다. 지금처럼 데이터에 음수가 존재할 때 음수와 양수 사이 어느 지점에는 "0"이 되는 지점이 생길 것입니다. 바로 그 위치가 축입니다. 그림에서 검은색 점선으로 나타난 부분입니다. 축을 기준으로 좌로는 음수, 우로는 양수가 되는 것이죠.
그리고 음수와 양수의 막대 색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당연한 얘기겠지만, 색은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수, 양수 다른 색을 지정해야 구분이 쉽겠죠. 또한 축의 색도 바꿀 수 있으며 축의 위치를 셀의 한가운데로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확인해 보겠습니다.
- 조건부 서식이 적용된 범위 중 아무 셀이나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 조건부 서식 > 규칙 관리를 클릭합니다. => 조건부 서식 규칙 관리자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 적용된 규칙 중 편집할 규칙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 선택된 규칙이 파란색 배경으로 변경됩니다.
- 규칙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서식 규칙 편집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 양수의 채우기 색을 변경합니다. 원하는 색으로 선택해 주세요.
- 음수의 값 및 축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음수 값 및 축 설정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 음수의 채우기 색을 변경합니다.
- 축 설정 영역에서 "셀 중간점"을 선택합니다. (축을 G열 셀의 중간으로 맞추겠다는 것입니다.)
- 축 색을 변경합니다. (저는 그냥 두었습니다. 바꾸고 싶다면 클릭하여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 음수 값 및 축 설정 대화상자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음수와 축의 설정이 완료되어 닫히고 다시 서식 규칙 편집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 서식 규칙 편집 대화상자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서식 규칙 편집 대화상자가 닫히고 조건부 서식 규칙 관리자 대화상자 다시 나옵니다.
- 최종, 조건부 서식 규칙 관리자 대화상자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된 규칙을 적용합니다.
상당히 많은 단계를 거친 것 같지만 실제로 해보면 대부분 클릭으로 진행되어 어려운 것이 없습니다.
결과, 막대들의 색이 바뀌고 축이 셀의 가운데로 이동됩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할 것은 이제 셀의 좌측 끝 기준은 더 이상 최소값이 아니란 겁니다. 축을 가운데로 옮겼기 때문에 축을 기준으로 좌측 크기도 우측과 동일한 크기가 돼버린 것입니다. 즉 최대값에 마이너스를 곱한 결과가 되는 것이죠. 최소값이 셀의 좌측 끝에 붙지 않는 이유입니다.
조건부 서식 데이터 막대를 마칩니다. 다음 강좌 색조를 알아볼 차례지만, 데이터 막대와 별 차이 없기 때문에 넘어가겠습니다. 직접 해보시면 금방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사실 색조는 실무에서도 잘 사용하진 않습니다. 색조의 경우 문서를 만든 사람과 문서를 보는 사람 간에 합의된 색이 있어야 구분이 편하기 때문입니다. 색의 기준이 없다면 무엇이 큰 값이고 무엇이 작은 값인지 색만으로는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죠. 직관적인 데이터 막대를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다음 강좌는 아이콘 집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