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강좌에서 셀 표시 형식 "#, 0,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불필요한 숫자 0의 처리를 표시할지 말지에 관한 문제였습니다.
아직 알 듯 말 듯한 게 정상입니다. 완전히 이해했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이해하지 못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아직 불필요한 숫자 0의 개념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 0, ?"의 경우에서는 불필요한 숫자 0은, 단 하나 그냥 숫자 0밖에 없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셀 표시 형식의 숫자 기호가 "##, 00, ??"나 "###, 000, ???"처럼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불필요한 숫자 0 또한 하나씩 증가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이 얘기를 풀어 보겠습니다.
아래 지난 강좌까지 진행했던 예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열어 주세요
현재는 2~13행까지 숨기기 된 상태이고 15:19행은 각각 셀 서식의 표시 형식이 열별로 "#, 0, ?"인 상태입니다.
숨기기 취소하고 이번에는 13행만 보이게 처리해주세요. 잘 모르겠다면 "행 머리글, 열 머리글 ❹ - 행과 열의 숨기기와 보이기(숨기기 취소)"편을 보시고 진행한 뒤 다시 돌아와 주세요.
13행만 보이게 처리했다면 각 레이블 대로 표시 형식을 변경합니다.
- C15:C19 범위를 클릭 드래그로 선택한 후 ctrl+1로 셀 서식 대화상자를 띄웁니다.
- 표시 형식 탭을 클릭합니다.(이미 표시 형식이라면 건너 뜁니다)
- 현재 형식은 #입니다. #을 하나 더 입력합니다.
- 최종 확인 버튼을 눌러 완성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D15:D19는 "00"으로, E15:D19는 "??"로 변경합니다. F열은 일단 변경할 표시 형식이 없으니 그냥 둡니다.
결과 그림처럼 완성됩니다. 이전과 달라진 셀은 D16과 D17셀 입니다. 나머지는 동일해 보이네요
이제 다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기호 "#"이든 "0"이든 "?"든 숫자 한자리를 의미한다고 했습니다. 지금은 모두 2개씩 입력했으니 10의 자리까지 표시 형식을 결정한 상태입니다. 10자리가 넘어가는 18:19행은 전혀 영향이 없습니다. 10자리까지 값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또 숫자 0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숫자 "0"은 없다는 의미이므로 표시할 수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두 자리(10의 자리)로 표현해야 한다면 숫자 "1"은 "01"이라고 표시해도 "1"이라는 것에는 의미가 변하지 않습니다. 십의 자리에 "0"은 결국 없다는 뜻이니까요.
지금처럼 없는 것도 무조건 "0"으로 표현해야 한다면 십의 자리에서 표현할 수 있는 수는"00"부터 "99"까지입니다. 백의 자리까지 표현해야 한다면 "000"에서 "999"까지가 될 것이고요
그림처럼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만의 자리, 십만의 자리... 모두 같은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할 경우 자릿수가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불필요한 숫자 0도 하나씩 증가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시 숫자의 #, 0, ?의 처리 방식을 생각하면
의미 정리- # : 불필요한 숫자 0을 표현하지 않는다(없애 버림)
- 0 : 무조건 숫자 0을 표현한다.
- ? : 불필요한 숫자 0을 빈칸으로 채운다(숫자 0 => Spacebar)
D16과 D17셀에 변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표시 형식 "0"의 경우 무조건 불필요한 0을 표현하기 때문에 십의 자리에 불필요한 숫자 0을 붙여서 표현하는 것이죠
그리고 이제 표시 형식 "?"의 공백도 셀의 정렬을 바꿔 확인할 수 있습니다. C15:E19를 가운데 정렬합니다.
불필요한 숫자 0을 없애 버렸다면 ##의 경우처럼 1의 자리 숫자의 위치가 다르게 보이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의 경우는 공백 문자(Spacebar)로 채웠기 때문에 1의 자리 숫자의 위치가 동일하게 표현되는 것이죠.
이해하셨다면 E열 1의 자리 위치를 모두 동일하게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를 "?????"로 바뀌면 되죠. 가장 큰 수가 만의 자리므로 "?"를 5개로 바꾸는 것입니다.
- E15:E19 범위를 선택한 후 ctrl+1롤 셀 서식 대화상자를 띄웁니다.
- 이전에 이미 "표시 형식"탭을 수정했으므로 바로 "표시 형식"탭으로 들어옵니다. 형식을 ?????로 수정합니다.
- 최종 확인 버튼을 클릭하고 완성합니다.
결과 1의 자리 숫자의 위치가 모두 동일하게 됩니다.
숫자의 표시 형식 "#, 0, ?"를 마칩니다. 아직도 잘 이해가 안 된다면 안 되는 부분을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